본문 바로가기

박서진 - 돌리도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2025. 5. 20.

박서진 - 돌리도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흥겨운 리듬과 직설적인 가사로 트로트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곡 ‘돌리도’는 원곡 가수 서지오의 대표곡으로 자리 잡은 이후, 박서진이 장구와 함께 재해석하면서 또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박서진 특유의 힘 있고 구성진 목소리는 ‘돌리도’에 활기를 더하며, 세대와 무대를 넘나드는 트로트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천 노래💡

박서진 - 돌리도 곡 정보

‘돌리도’는 2011년 10월 20일, 서지오의 싱글 앨범 [돌리도 / 손수건을 던져요]를 통해 발표된 곡으로, 임휘 작사, 박혀진 작곡의 트로트곡입니다.

 

"있을 때 잘해"라는 직설적인 메시지와 반복적인 후렴구는 듣는 이의 귀에 쉽게 남으며, 흥겨운 멜로디와 강한 중독성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박서진은 이 곡을 장구 퍼포먼스와 함께 무대에서 선보이며 전통성과 젊은 감성을 동시에 표현해내, 원곡과는 또 다른 매력으로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 아티스트: 박서진 (원곡: 서지오)
  • 곡명: 돌리도
  • 작사: 임휘
  • 작곡: 박혀진
  • 원곡 발매일: 2011년 10월 20일
  • 장르: 트로트

곡 의미

‘돌리도’는 이별 후 후회하는 사랑의 감정을 경쾌한 리듬에 실어 전하는 곡입니다. 사랑할 때 표현하지 못하고 무심했던 이들에게 전하는 “있을 때 잘해”라는 메시지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의 진리이기도 하죠.

 

반복되는 “돌리도”라는 구절은 사랑을 되돌리고 싶은 간절한 마음을 강조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웃음과 공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킵니다. 서지오가 원곡에서 보여준 담백한 감정선에 박서진은 에너지와 리듬감을 더해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었습니다.

 

박서진 - 돌리도 가사

 

잘해 잘해 잘해 바라볼 때 잘해
너만 바라볼 때 잘해 잘해 잘해
있을 때 잘해 옆에 있을 때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첫눈에 뿅 갔다고
나 없이는 못 산다고
죽자 살자 매달린
요놈의 사랑아

당신 사랑 깊이를
자로 자로 재보니
일 미터도 못 되더라

잘해 잘해 잘해 바라볼 때 잘해
너만 바라볼 때 잘해 잘해 잘해
있을 때 잘해 옆에 있을 때
한 번 떠난 사랑은 다시 오지 않아
후회할 때는 이미 늦었어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잘해 잘해 잘해 바라볼 때 잘해
너만 바라볼 때 잘해 잘해 잘해
있을 때 잘해 옆에 있을 때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첫눈에 뿅 갔다고
나 없이는 못 산다고
죽자 살자 매달린
요놈의 사랑아

당신 사랑 깊이를
자로 자로 재보니
일 미터도 못 되더라

잘해 잘해 잘해 바라볼 때 잘해
너만 바라볼 때 잘해 잘해 잘해
있을 때 잘해 옆에 있을 때
한 번 떠난 사랑은 다시 오지 않아
후회할 때는 이미 늦었어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돌리도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내 사랑 돌리도 돌려줘

 

함께 들으면 좋은 노래

박서진 - 명자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서진 - 남이가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서진 - 따라따라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서진 - 인생은 미완성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서진 - 미투리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자주 묻는 질문

Q1. 박서진 버전의 ‘돌리도’는 원곡과 어떻게 다른가요?

A1. 원곡이 감정 위주의 담백한 트로트였다면, 박서진 버전은 장구 퍼포먼스와 경쾌한 무대 매너로 더욱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젊은 감성과 에너지가 더해져 세대 간의 공감대를 넓힌 무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2. ‘돌리도’는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나요?

A2. ‘돌리도’는 사랑이 끝난 후에야 소중함을 깨닫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경고 같은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있을 때 잘해”라는 가사는 단순하지만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진실된 메시지입니다.

Q3. 박서진의 또 다른 인기곡도 있나요?

A3. 박서진은 ‘밀어밀어’, ‘꽃이 핍니다’, ‘누나가 딱이야’ 등 다양한 트로트곡으로 사랑받고 있으며, 장구 퍼포먼스를 통해 독보적인 무대 존재감을 보여주는 트로트 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