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듀스 - 나를 돌아봐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2025. 7. 8.

듀스 - 나를 돌아봐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1990년대 한국 힙합의 지평을 넓힌 전설적인 듀오, 듀스(DEUX)의 명곡 중 하나인 ‘나를 돌아봐’는 당대 음악 팬들에게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감성적인 멜로디와 날카로운 랩이 어우러져, 그 시절의 사랑과 아픔을 감각적으로 표현해냈죠.

 

 

💡추천 노래💡

듀스 - 나를 돌아봐 곡 정보

‘나를 돌아봐’는 1993년 4월 23일, 듀스의 두 번째 정규 앨범 에 수록된 대표곡입니다.

 

서정적인 멜로디 라인 위에, 랩과 보컬이 자연스럽게 엇갈리는 구성은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스타일이었으며, 이후 한국 힙합과 R&B 장르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특히, 김성재의 절절한 감성과 이현도의 탄탄한 프로듀싱이 돋보이는 트랙입니다.

  • 곡명: 나를 돌아봐
  • 가수: 듀스(DEUX)
  • 앨범: Deux (정규 2집)
  • 발매일: 1993년 4월 23일
  • 장르: 힙합, R&B, 댄스
  • 작곡: 이현도
  • 작사: 김성재, 이현도

곡 의미

‘나를 돌아봐’는 이별과 외면 속에서 그 사랑을 간절히 되돌리고자 하는 마음을 노래합니다. 상대방의 마음이 떠난 줄 알면서도, 아직도 그 자리에 서서 사랑을 기다리는 화자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고 있죠.

 

반복되는 하루 속에서 점점 멀어지는 연인을 향한 간절한 외침은, 많은 청춘들의 마음을 울렸습니다. 특히 후렴구의 “나를 돌아봐”라는 가사는 단순하지만 깊은 울림을 주며, 지금까지도 대중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습니다.

 

듀스 - 나를 돌아봐 가사

 

(이제 우리가 시작하겠어 바로 여기서 D,E,U,X DEUX
여기서 우린 보여주고 싶어 D,E,U,X DEUX....)

하루 하루 반복되는 날들
의미를 찾을 수 없어
순간순간이 나에겐 힘들어
(왜 언제나 너는 내 맘 속에)
난 벗어나고 싶어

언제나 슬픔에 벽속에 나는
둘러싸여 있는데
시간이 갈수록 그대는
자꾸만 멀어져 가고 있는걸

나를 돌아봐 그대 나를
너의 맘속엔 내가 없지만
나를 돌아봐 나는 지금 널 그리며 서있어

그대는 나를 슬퍼하는 나를 기다림에 날을
계속하고만 있는 나를 WHY 왜 자꾸만 외면하고
멀어져가는 거야 (그대 나에게)
두근거리는 내 마음을
그대는 가슴을 닫아 두고 보면 외면을 하고 있지만
언젠가는 넌 알 수 있을거야 그때 너의 마음
나에게만 보여줘!

언제나 슬픔에 벽속에 나는
둘러싸여 있는데
시간이 갈수록 그대는
자꾸만 멀어져 가고 있는걸

나를 돌아봐 그대 나를
너의 맘속엔 내가 없지만
나를 돌아봐 나는 지금 널 그리며 서있어

그대는 나를 가슴아파하는 나를 난 너! 너만을 얻고 싶어!
이런 나를 정말로 정말로 이대로 지나칠 수 밖에 없는지
정말 난 그대와 정말 사랑할 수 없는지 나를 돌아봐줘
나를 돌아봐 그대여 나를 돌아봐

나를 돌아봐 그대 나를
너의 맘속엔 내가 없지만
나를 돌아봐 나는 지금
널 그리며 서있어

 

함께 들으면 좋은 노래

양준일 - 리베카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코리아나 - 손에 손잡고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임수정 - 연인들의 이야기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강성 - 내일을 기다려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박강성 - 문 밖에 있는 그대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자주 묻는 질문

Q1. '나를 돌아봐'는 어떤 스타일의 곡인가요?

A1. 이 곡은 힙합, R&B, 그리고 댄스가 절묘하게 섞인 곡으로, 감성적인 멜로디와 감각적인 랩이 인상적입니다. 당시 한국 음악계에서는 보기 드문 신선한 스타일이었습니다.

Q2. 왜 듀스의 대표곡 중 하나로 평가받나요?

A2. 감성적인 메시지와 실험적인 사운드, 세련된 무대 퍼포먼스까지 겸비한 곡이었기 때문입니다. 김성재의 감성적 보컬과 이현도의 음악적 역량이 고루 어우러졌습니다.

Q3. ‘나를 돌아봐’가 지금 들어도 촌스럽지 않은 이유는?

A3. 구조적인 완성도와 세련된 편곡, 그리고 시대를 앞서간 스타일 덕분입니다. 지금의 발라드와 힙합을 섞은 트렌드와도 맞닿아 있어, 세대 불문하고 사랑받는 명곡으로 남아 있습니다.